번역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통번역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
수 천만원의 금전적 투자가 필요 합니다.
그렇다면, 금전적으로 투자하는 만큼 번역수업을 제대로 들을 수 있을까요?
통번역대학원의 번역수업은 번역 30%, 통역 70% 입니다.
통계 수치로만 봐도, 통역수업 비중이 훨씬 많으며 통역수업이 주 입니다.
통번역대학원의 번역수업은 30% 비중으로
통역수업에 치중되어 있으며 번역수업은 거의 없습니다.
번역가를 직업으로 생각하고 통번역대학원을 다니는 대학생들은
전문지식의 부재와 졸역에 위험이 매우 높고 실전에 약해
다양한 분약에서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따라잡지 못 합니다.
대부분 간단한 문서에 편중되어 있으며 출판번역에만 치우쳐 있습니다.
번역경력은, 어학능력으로 번역능력을 대체 할 수 없고
어학능력만으로는 번역경력을 쌓을 수 없습니다.
토익 만점, 높은 어학점수, 유창한 회화실력, 번역자격증 등
외국어와 관련 된 경험은 말 그대로 경험 입니다.
번역을 수행 했던 경험만이 '경력'에 해당 됩니다.
경험이 아닌 번역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통번역대학원을 나오지 않아도, 학력 및 경력이 없어도,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통해 번역능력을 갖추면 번역활동 할 수 있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받으면 거래처가 요구하는
번역가의 학력과 경력을 대체 할 수가 있습니다.
번역품질과 연결되는 언어능력, 어문능력, 기술능력, 수행능력은 물론!
번역가 3대 의무인 성실번역, 기밀유지, 납기일 준수까지
번역가에게 필요한 번역능력을 모두 익힐 수 있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인터넷으로 훈련 받기 때문에 편리하고,
E-learning을 통해서 전문적인 배경지식 + 전문용어를 익힐 수 있습니다.
통번역대학원에서 번역수업이 30% 였다면,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번역훈련이 100% 입니다.
번역가를 준비하는 당신의 선택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