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13일 목요일

떠오르는 직업 "초벌번역가" 물오른 인기!

 
 
 
 
 
 
 
 
 
번역가는 다른언어로 글을 옮기는 작업을 하는 직업 이죠.
 
번역 난이도에 따라서 초벌번역 또는 실무번역을 하게 되는데
 
번역경력이 없는 사람들은 초벌번역 활동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조금은 생소한 '초벌번역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일까요?
 
 
 
 
 
 
 
 
 
 
초벌번역은 번역의 첫 완성물을 말 합니다.
 
 
 
초벌번역가가 번역 및 자가점검 이후에 실무번역가에게 넘겨
 
오역을 줄이고 완성도 높은 번역품질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실무번역가는 원문과 초벌번역을 비교하여
 
조금 더 전문성 있게 수정하여 감수자에게 넘기게 됩니다.
 
 
감수자는 다시 한번 더 오역, 오탈, 누락을 확인하고
 
번역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초벌번역가라는 이름은 생소하지만
 
번역품질과 연결 된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 것이 바로
 
초벌번역가라는 직업 입니다.
 
 
 
 
 
 
 
 
 
 
번역의 중요도가 높은 번역입찰, 공공기관, 대기업 프로젝트 등
 
번역물에서 초벌번역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역도 줄일 수 있고 신속하게 번역물을 만들 수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기 때문 입니다.
 
 
 
 
 
 
 
 
 
 
초벌번역 활동은 A4용지 한장당

 8,000~15,000원의 번역료를 받을 수 있으며

 번역 숙련도에따라 시간 조정이 가능해 효율적이며
 
소득면에서도 괜찮고 인기 있는 직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번역경력이 없다면 초벌번역부터 번역활동 시작해보세요!
 
 
 
 
 goo.gl/fVfsZt
 
 
 


2017년 7월 11일 화요일

[번역훈련] 어학점수 있는 민수가 취업 실패하는 이유






대학생 90% 이상은 취업준비를 할 때
토익, 토플, 텝스와 같은 어학점수를 취득 합니다.

힘들게 취득한 어학점수인지라 뿌듯함을 가지고
여기 저기 이력서도 내보고, 면접도 보지만,
돌아오는 건 '불합격' 통보 입니다.


실제로 대한민국 서울 대졸 무직자들의 수는 39,7%으로
고스펙을 보유한 것에 비해 취업률은 매우 낮습니다.
왜?


5년 전만 해도 기업은 스펙위주로 인재를 채용했지만
다양한 스펙은 직무능력에 큰 역량을 내지 못했고
기업은 인재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기업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인재를 채용하고 있을까요?









공공기관을 비롯한 대기업에서는 NCS기반채용을 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산업현장에서 바로 일을 할 수 있는 업무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하고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NCS기반에 부합하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통해서 영어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단순영어실력이 아닌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통해서
번역능력을 갖추면 영어실력향상은 물론 영어능력도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학원 다녀가며 영어공부를 할 때,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통해 영어능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오프라인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번역훈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하고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80% 이수만 하면
번역훈련인증서가 발급이 되기 때문에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들은 유용하게 사용 할 수 가 있습니다.











번역을 처음 하는 사람도 구문, 단문, 장문 번역을 실습하고 복습해
외국어능력 플러스 한국어능력까지 갖출 수 있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나이 제한이나 학력제한이 없으며,
취업준비 및 영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통해서 영어능력 갖출 수 있습니다.

NCS기반 번역가직무능력훈련 받아보세요.
취업준비생이라면 더욱 외국어관련 직업에 대해 상담도 받아보고
필요하다면 번역경험을 해보는 게 좋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시간도 자유롭고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서든
E-learning을 통하여 번역가직무능력훈련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는 NCS기반채용이 이루어지는 만큼
경험이 아닌, 영어능력을 갖춰야 취업도 잘 할 수 있습니다.

[번역가] 번역가직무능력훈련 VS 통번역대학원








번역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통번역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

수 천만원의 금전적 투자가 필요 합니다.

그렇다면, 금전적으로 투자하는 만큼 번역수업을 제대로 들을 수 있을까요?



통번역대학원의 번역수업은 번역 30%, 통역 70% 입니다.

통계 수치로만 봐도, 통역수업 비중이 훨씬 많으며 통역수업이 주 입니다.















통번역대학원의 번역수업은 30% 비중으로

통역수업에 치중되어 있으며 번역수업은 거의 없습니다.

번역가를 직업으로 생각하고 통번역대학원을 다니는 대학생들은

전문지식의 부재와 졸역에 위험이 매우 높고 실전에 약해

다양한 분약에서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따라잡지 못 합니다.

대부분 간단한 문서에 편중되어 있으며 출판번역에만 치우쳐 있습니다.












번역경력은, 어학능력으로 번역능력을 대체 할 수 없고

어학능력만으로는 번역경력을 쌓을 수 없습니다.

토익 만점, 높은 어학점수, 유창한 회화실력, 번역자격증 등

외국어와 관련 된 경험은 말 그대로 경험 입니다.


번역을 수행 했던 경험만이 '경력'에 해당 됩니다.











경험이 아닌 번역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통번역대학원을 나오지 않아도, 학력 및 경력이 없어도,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통해 번역능력을 갖추면 번역활동 할 수 있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을 받으면 거래처가 요구하는

번역가의 학력과 경력을 대체 할 수가 있습니다.

번역품질과 연결되는 언어능력, 어문능력, 기술능력, 수행능력은 물론!

번역가 3대 의무인 성실번역, 기밀유지, 납기일 준수까지

번역가에게 필요한 번역능력을 모두 익힐 수 있습니다.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인터넷으로 훈련 받기 때문에 편리하고,

E-learning을 통해서 전문적인 배경지식 + 전문용어를 익힐 수 있습니다.










통번역대학원에서 번역수업이 30% 였다면,

번역가직무능력훈련은 번역훈련이 100% 입니다.

번역가를 준비하는 당신의 선택은?